전체메뉴
책이야기
신간
금주의 신간
국회도서관에 입수된 신간자료 정보를 주 1회 제공합니다. (자료조직과 : 02-6788-4226)
현대 사회에서 ‘민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오해되고 왜곡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그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다. 민족을 보편적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특성을 지닌 것으로 정의하며, 서구의 발전이 역사적 진보의 유일한 경로라는 믿음을 비판하며, 다양한 사회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기획자의 말제1장 민족사회학: 정의, 주제, 방법론제1절 고전적 사회학에 대한 개요 사회학의 기본 개념: 일반 개념 및 특정 개념|사회계층과 사회집단|극장의 은유|사회에서 파생된 인간제2절 ‘민족’ 개념의 소개‘민족’ 및 동의어들의 어원론|민족의 정의|열린 공동체로서 민족|민족성의 정의|러시아 학계에서 민족 이론: 레프 구밀레프의 민족형성론|율리안 블라디미로비치 브롬리의 민족 이론|해외의 민족사회학|민족과 인종|민족과 국민|민족과 사회|코이논으로서 민족|민족의 전체형태성제3절 개념으로서의 민족과 현상으로서의 민족민족사회학의 주제와 대상|우리가 거부해야 할 민족사회학의 정의|현상으로서의 민족과 현상학적 방법|민족의 사례 : 현대 체첸|민족사회학의 주요 규칙 : 민족의 다원성과 그 분류|민족과 생활세계|민족 공간의 사례: 레즈긴족제2장 민족사회학의 근본 개념, 도구, 방법제1절 민족사회학의 기본 개념(사회의 유형)민족사회학의 개념과 용어|동의어의 문제|민족사회학의 기본적인 용어와 개념의 구조|정체성과 정체성 확인|민족 정체성 확인: 도 카모(Do Kamo)|민족의 내부 구조: 가족,혈통, 일족|민족과 혈통-정체성: 쌍둥이 신화|민족사회학적 범주로서 나로드|나로드는 민족의 첫 번째 파생물이다|나로드의 세 가지 창조 형태: 국가, 종교, 문명|민족과 나로드 관계의 가역성|나로드노스트는 민족사회학의 범주가 아니다|국민 : 민족의 두 번째 파생물|국민과 가역성|국민자격은 민족사회학적 범주가 아니다|민족사회학적 개념으로서 시민사회|시민사회의 가역성|시민사회의 절정으로서 범지구사회|탈사회와 탈근대성의 사회학제2절 민족사회학의 도구적 개념스테레오타입-민족 스테레오타입|태도 : 민족의 태도|동화|민족 보전|문화변용|통합|복잡한 사회에 민족사회학적 방법의 적용 가능성제3장 민족사회학 방법론의 이론적 패러다임제1절 근원주의민족 현상을 해석하는 기본적 방법|근원주의 접근법의 핵심|다양한 형태의 근원주의|생물사회적 접근법|진화론: 허버트 스펜서|인종이론|인종주의|인간 게놈 연구의 인종주의적 측면|인종 및 생물학적 접근법에 대한 비판|문화 근원주의제2절 구성주의고전적 구성주의: 어네스트 겔너, 베네딕트 앤더슨, 에릭 홉스봄|구성주의 적정성과 한계|앤서니 스미스의 민족상징주의제3절 도구주의도구주의의 출현|전략으로서 민족|도구적 영속론|상황적 영속론|도구주의 접근법 등장의 역사적 맥락|도구주의의 적절성과 한계|도구주의와 나로드의 사회학|결론제4장 다른 나라의 민족사회학제1절 독일의 민족사회학, 문화 서클, 민족심리학‘민족사회학’이라는 용어|요하네스 고트프리트 헤르더: 신의 뜻으로서 나로드|요하네스 고틀리프 피히테|요한 야코프 바흐오펜|아돌프 바스티안: 원질사고와 나로드 사고|프리드리히 라첼: 인류지리학과 민족학|로베르트 그래브너: 민족학의 방법|빌헬름 슈미트: 원시유일신론|레오 프로베니우스: 텔루리즘, 흐토니즘, 파이데우마|루트비히 굼플로비치: 민족의 투쟁|프란츠 오펜하이머: 민족 갈등의 결과로 나타난 국가|알렉산더 뤼스토프: 근본 유형으로서 유목민과 농민|막스 베버: 민족의 정의|페르디난트 퇴니스: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베르너 좀바르트: 영웅과 상인|모리츠 라자루스: 나로드 정신|빌헬름 분트: 나로드 심리학|알프레드 피어칸트: 민족현상학|지그문트 프로이트: 원시 질서에서 부친 살해|칼 구스타프 융: 집단 무의식|리하르트 투른발트: 민족사회학 지식의 체계화|자연 나로드의 ‘삶의 이미지’: 민족의 유형론|단순한 사회의 가족과 경제|서로 다른 형태의 차별화된 사회에서 국가, 문화, 권리|투른발트 연구의 민족사회학적 중요성|빌헬름 뮐만: 민족, 나로드, 민족중심주의|게오르크 엘베르트: 민족 갈등과 ‘폭력의 시장’제2절 미국의 민족사회학, 문화인류학, 종교사, 민족방법론 용어 설명|루이스 모건 : 고대 사회|윌리엄 섬너 : 민속과 관습|윌리엄 토머스: 발달된 문화를 가진 문명사회의 민족지학|프란츠 보아스: 문화인류학의 창시자|앨프리드 크로버 : 문화적 패턴과 초유기체|로버트 로이: 역사적 특정론|루스 베네딕트: 문화적 패턴의 구현|어브램 카디너: 기본인격|랠프 린턴: 지위와 역할|코라 듀 보이스: 최빈인격의 구조|에드워드 사피어 : 언어의 번역 불가능성 가설|클라이드 클럭혼 : 가치 지향의 방법|클리퍼드 기어츠: 상징인류학|클라크 위슬러: 문화영역|마거릿 미드: 아동-자본주의자, 유물론자, 냉소론자|그레고리 베이트슨: 단조로운 과정에 대한 비판|멜빌 헤르스코비츠: ‘기본인격’으로서의 미국 흑인|로버트 레드필드 : 민속사회|폴 라딘 : 트릭스터의 인물상|미르체아 엘리아데: 영원한 복귀|해럴드 가핑클: 민족방법론과 민족사회학|매킴 매리어트: 오늘날 미국의 민족사회학|로널드 인덴: 민족사회학에서 식민주의 클리셰의 붕괴를 위하여|미국 문화인류학의 개요제3절 영국의 민족사회학, 사회인류학, 기능주의, 진화론영국의 진화론|에드워드 타일러: 문화와 애니미즘의 진화론적 행로|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신성한 왕의 상징|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기능주의와 사회인류학|앨프리드 래드클리프 브라운: 사회 구조|마이어 포르테스: 아프리카 부족의 사회학|에드워드 에반 에반스 프리처드: 문화의 번역|맥스 글럭먼: 사회적 역동성|에드먼드 리치: 굼사/굼라오|어네스트 겔너: 아그라리아에서 인더스트리아까지|베네딕트 앤더슨: 상상된 공동체로서 국민|존 브로일리: 국가의 자율성|엘리 케두리: 국민주의 근절|앤서니 스미스: 민족상징주의|앤서니 기든스: 민족사회학은 이중해석학이다|영국의 사회인류학, 국민 연구 및 민족사회학의 개요제4절 프랑스의 민족사회학, 고전사회학, 구조인류학에밀 뒤르켐: 사회적 사실 및 신성과 세속의 이분법|마르셀 모스: 선물의 사회학|앙리 위베르: 종교 시간의 사회학|뤼시앵 레비 브륄: 신비로운 참여|마르셀 그리올: 도곤의 신화|모리스 린하르트 : 고대 사회의 인격과 신화|마르셀 그라네 : 중국 사회|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민족사회학의 핵심 인물|문화의 평등 : 구조인류학|이진 부호|친족관계의 원초적 구조|제한된 교환|일반화된 교환|성별 관계와 그 규모의 원자 구조|소시움에서 모계와 부계|교차사촌 및 병렬사촌 체제|루이 뒤몽: 위계적 인간과 전체론|조르주 뒤메질: 3기능 이론|알기르다스 그레마스: 의미의 사회학과 민족기호학의 대상|앙드레 르루아 구랑: 기술과 민족성|로제 바스티드: 브라질 사회의 민족사회학적 표식|질베르 뒤랑: 상상력의 인류학적 구조|피에르 부르디외: 참여 민족사회학|요약: 민족 분석과 탈민족 분석제5장 러시아의 민족사회학제1절 러시아 민족학의 전 단계러시아 역사학과 민족지학의 기원|초기 친슬라브파 : 키레옙스키, 호먀코프, 악사코프, 사마린|후기 친슬라브파: 다닐렙스키|레온티예프: 사회의 세 가지 유형|라만스키: 그리스-슬라브 문화와 중간 세계|러시아 민족지학|러시아의 ‘나로드니크’와 민족사회학 수립에서의 역할|민족에 관한 러시아의 고전사회학자들|인문학 패러다임으로서 유라시아주의: 민족과 문화의 다원성|러시아 민족사회학의 문턱에 관하여제2절 체계적 학문으로서 러시아 민족학의 수립민족학의 수립과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시로코고로프의 역할|‘민족’ 개념과 학문으로서 민족학의 도입|사회조직|문화의 균형이론 : 민족 균형의 계수|민족과 주기|민족과 환경|민족 간 상호작용의 유형|민족과 전쟁|심리정신적 복합체와 샤머니즘|시로코고로프가 제시한 민족 연구의 주안점|시로코고로프의 민족학과 민족사회학|레프 구밀레프: 민족학의 새로운 단계|구밀레프의 민족에 대한 정의와 모호성|열정성과 그 변형들|민족 발생의 단계|민족의 척도|유라시아의 미지의 역사|구밀레프의 용어와 민족사회학 분류: 수정과 대응|소련의 구조주의: 블라디미르 야코블레비치 프로프|뱌체슬라프 이바노프, 블라디미르 토포로프: 문헌학과 인류학의 구조주의 연구|소비에트 민족지학과 민족의 역사|소비에트 민족학: 율리안 블라디미로비치 브롬리|오늘날 민족사회학의 제도화옮긴이의 말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