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전체메뉴

주제별 큐레이션

상임위원회별 최신 자료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2025 한반도 정세 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신영역 작전개념과 연계한 한반도 미사일 전략 연구

국가전략정보포털

[전문가칼럼] 전 세계 경제질서가 된 탈탄소 제도 - 탈탄소는 우리나라 스스로 정한 과제가 아니다ㅣ조천호 박사

국가전략정보포털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국가전략정보포털

미국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 변화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대한민국 재정

국가전략정보포털

Strategic alignment in an era of uncertainty : next steps for the US–South Korea Alliance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

국가전략정보포털

(2025년) NABO 경제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외국인 박사 73.1% ▭로 한국 취업

국가전략정보포털

경제안보리뷰. 25-06호

국가전략정보포털

2024 NABO 연차보고서

국가전략정보포털

트럼프 2.0 : 한눈에 보기

국가전략정보포털

Vol.190 외국 기업의 러시아 시장 재진출..종전 기대감에 청신호

국가전략정보포털

How Will Russia Reconstitute Its Military After the Ukraine Conflict?

국가전략정보포털

2024년 테러정세와 2025년 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The demographic divide: inequalities in ageing across the European Union

국가전략정보포털

[읽어주는 NABO 보고서] 2025년도 공공기관 지정 현황 및 이슈

국가전략정보포털

トランプ政権の相互関税政策が世界経済に与える影響──IDE-GSMによるシミュレーション分析

국가전략정보포털

NABO 재정경제통계 Brief. 12호, 교육통계

국가전략정보포털

제21대 독일 연방의회선거 결과와 정부구성 전망

국가전략정보포털

북한 핵 위협의 실체와 한미의 결정적 억제력 | 박원곤의 북한과 세계

국가전략정보포털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

국가전략정보포털

BOK이슈토크ㅣ한국은행의 세 차례 기준금리 인하,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국가전략정보포털

[읽어주는 NABO 보고서] 2025년 2월 개정세법 심의 결과 및 주요 내용

국가전략정보포털

인공지능을 둘러싼 미·중 전략 경쟁과 우리의 대응 방향

국가전략정보포털

전략적 투자보조금 정책이 다국적 기업의 투자와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국가전략정보포털

EU preparedness union strategy

국가전략정보포털

Piano d’Azione per l’export italiano

국가전략정보포털

대통령 권한대행 순서의 법규정과 해외 사례

국가전략정보포털

이슈 키워드 TOP 10

(AI의정분석서비스 아르고스가 국회 관련 최신 뉴스를 분석하여 추출한 이슈 키워드입니다 )

신간도서

국회도서관, 『국가 AI 지식 Hub』로의 도약 준비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최근 새롭게 개편된 국회도서관 홈페이지와 국회전자도서관, 의회법률정보포털에 최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생성형 지식서비스를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국회도서관 홈페이지의 「AI 사서 ‘나비’」는 최신 자연어 처리 기술인 거대언어모델과 검색증강생성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다. 국회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맞춤형 안내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질문에도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함으로써 국회도서관 이용이 처음인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국내 대표 지식정보 허브인 국회전자도서관에서는 두 가지 AI 기반 생성형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AI 100자 요약 서비스」는 자료 내용을 100자 내외로 압축·요약해 핵심 정보만 제시하여 이용자의 신속한 정보 탐색을 돕는다. 「자료요약 서비스」는 이용자 개인 문서의 핵심 내용을 자동으로 요약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서비스로, 연구자와 정책 관계자들이 자료를 더 빨리 파악하고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국회 입법활동에 시범적으로 제공되고, 향후 전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 안으로 세계 각국의 최신 법률을 실시간으로 번역하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국회도서관 의회법률정보포털을 통해 의원실에서 외국의 최신 입법 사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국회도서관은 최신 AI 기술을 활용한 생성형 지식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함으로써 입법정책 지원은 물론, 정보서비스를 선도하는 ‘국가 AI 지식 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황정근 국회도서관장은 “AI 사서 나비, AI 100자 요약 서비스, 최신 외국 법률 실시간 번역 서비스 등 AI 기반의 혁신적인 지식정보 서비스를 통해 정보 활용 효율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선제적인 AI 서비스 접목을 통해 입법 활동 지원을 강화하고, 전 국민의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겠다.”라고 강조했다. <끝>

2025.04.01

미국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 정책 변화 - 「최신외국정책정보」 제6호

국회도서관(관장 황정근)은 3월 31일(월), ‘미국의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DEI) 변화’를 다룬 『최신외국정책정보』(2025-6호, 통권 제6호)를 발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월 20일 취임 연설에서 ‘상식의 혁명(Revolution of common sense)’을 주창하며 행정명령 제14148호 「유해한 행정명령 및 조치의 초기 철회(Initial Rescissions Of Harmful Executive Orders And Actions)」를 통해 인종 형평성과 성평등을 골자로 한 바이든 행정부의 DEI 정책을 전면 철회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1년 1월 20일 취임 직후부터 유색 인종, 성소수자, 여성 등의 권익 증진을 위해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DEI)’을 정부 핵심 의제로 삼고, 다수의 행정명령을 통해 소수 집단의 교육과 채용에서 적극적 우대조치를 시행해온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DEI 정책이 특정 집단을 제도적으로 우대하여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고 다수에 대한 역차별을 초래한다고 비판하며, 인종 및 성 정체성에 근거한 적극적 우대조치를 폐지하고 능력주의를 표방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행정명령 제14151호 「급진적이고 낭비적인 정부 DEI 프로그램 및 우대 정책 폐지(Ending Radical And Wasteful Government DEI Programs And Preferencing)」를 통해 연방정부의 모든 DEI 프로그램을 폐지했다. 또한, 행정명령 제14168호 「극단적 젠더사상으로부터 여성 보호 및 연방정부 내 생물학적 진리 회복(Defending Women From Gender Ideology Extremism And Restoring Biological Truth To The Federal Government)」및 행정명령 제14201호 「여성 스포츠에서 남성 퇴출(Keeping Men Out of Women’s Sports)」에 서명하여 여성 보호 정책을 시행했다.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와 유고브(YouGov)가 2025년 1월 미국 성인 1,609명을 대상으로 DEI 정책 철회와 관련하여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5%는 DEI 프로그램 폐지를 지지하고 40%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은송 해외자료조사관은 “이번 보고서는 미국 정부의 DEI 정책 추진과 폐지 흐름을 객관적으로 정리하고, 정책 전환에 따른 핵심 쟁점과 사회적 반응을 조망한다”라며 “다양성과 형평성을 둘러싼 국제적 흐름에 관심 있는 정책 입안자와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은희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실장은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은 미국 내 정치 지형 변화에 따라 극명한 정책 전환을 겪고 있다”라고 평가하고, “우리 사회가 포용적 성장과 형평성이라는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정책적으로 접근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끝>

2025.03.31

더보기
Social Signal 2024-8호(통권 제48호) 돌봄의 새로운 방식, 노노케어
귀차니를 위한 오디오북 ‘서평 읽는 날(NAL)’
노벨문학상 수상 한강 작가 저서 모아보기
1 / 2